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미세먼지
- 비산먼지
- KakaoAPI
- Tableau
- Geopandas
- 태블로
- QGIS
- 파이썬
- buffer
- 카카오API
- 버퍼
- 지아이에스
- LH
- COMPAS
- GIS
- 홍수
- GBC
- pthon
- 오물풍선
- 교통망
- 경사
- Networt Analysis
- VRI
- 이태원
- 초미세먼지
- softeer
- S-DoT
- Python
- 침수
- IQR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지아이에스 (1)
너구리의 세상 분석

며칠 전 한국에는 오물풍선 지도가 없다는 글을 보았다.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생각했지만 진짜였다.국제기구(CSIS)에서 만든 지도뿐이었고 한국어로 번역된 지도는 없었다.그래서 해당 사이트의 소스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interactive map을 만들 수 있는 태블로 환경에서 한국어 지도로 변환했다. 다만 보안상의 이유인지 모든 풍선의 위치가 공유되는 실정은 아니다.따라서 신문사에 공유된 약 180개의 풍선만 존재한다.이번 포스팅의 목적은 해당 지도를 발전시키는 계획을 설명함에 있다. 1. 기상 데이터와의 연동 1) api를 기반으로 해당 시점의 날씨 검색 2) 날씨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 역추적 3) 추적 한계는 DMZ 근방의 위치값으로 산정 2. 미래의 오물풍선 루트 예측 1)..
GIS, Geopandas/GIS
2024. 10. 2. 21:05